경남 산청 시천면 중산리에서 지리산 천왕봉으로 3.3km를 두어시간 숨가프게 차고올라
1400고지에 이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높은곳에 위치한 사찰 법계사를 만난다
신라 진흥왕 5년(544년) 인도에서 건너온 緣紀祖師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면서 창건하였고
1405년 선사 正心이 중창한 수도처로서 널리 알려지고 많은 고승을 배출한 해인사 말사절이다
"법계사가 흥하면 일본의 기운이 쇠퇴한다"는 설로 인해 고려말 왜적 아지발도에 의해 소실되었던
것을 조선태종 5년 벽계 正心선사가 중창 하였으나 그후 임진왜란과 한일합방때 다시 왜인에 의해
불타고 6.25때 또다시 불탄뒤 워낙 높은곳에 위치하였시 때문에 토굴만으로 명맥을 이어오다
최근에 법당이 준공되어 절다운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법당 왼쪽에 보물 제473호로 지정된 법계사 삼층석탑이 있으며 절 뒤에는 암봉과 文昌臺가 있다
최치원이 함양태수로 있을때 법계사에 자주 왕래하면서 이곳 문장대에 올라 건너편 향적대 부근
바위에 과녁을 만들어 놓고 활쏘기를 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이곳을 矢弓臺 또는 孤雲臺라고
불리다가 훗날 최치원의 시호인 文昌侯를 따서 문창대로 바꿔 불렀다고 한다
몆년전에 이범종을 조성하고 옮기기위해 헬리곱터로 운반하고 자리하는 전과정이
텔리비젼으로 방영되면서 화제가 되었던 범종각이다
."법계에 울리는 이 종소리 사바세계를 구원하는 반야의 지혜로 드러나고
천왕의 위신력과 제석천왕의 정법수호로 대한민국 국운이 융성하고
모두의 가정이 행복하여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