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진주 중앙시장 제일식당

남십자성 2012. 5. 14. 22:18

중앙시장 제일식당  

 

진주 중앙시장에 가면 내 알기로도 역사가 반세기도 넘는 국밥집 제일식당이 있다

내 어릴적 아버지 따라가던 고향길에 부산서 기차를 타고 진주역에 내리신 아버지는언제나 뱃다리 건너 중앙시장 제일식당을 찾아 국밥 한그릇 으로 요기부터 하시고 고향길을 걸어셨다

그렇게 진주여고를 지나 가매못을 돌아 험한 한티재를 넘어서 삼십리 길을 걸어 찾아가던 왕지골이 내할머니 집이다

세월이 또 그렇게 흐른 지금 나역시 벌초길의 고향 갈때면 잊지못하고 버릇처름 아버지가 요기를 하셨던 중앙시장 그 제일식당을 찿아 국밥 한그릇으로 내 아버지를 생각하며 그리워한다

오늘도(일요일) 나는 내 아들과 내아버지 산소를 찾는 벌초길에 중앙시장 제일식당에 들러 그때 그 국밥 을 먹는다  

 그리고 훗날 내아들 역시 이 아비 벌초길에 제 아들과 제일식당을 찾고 이 아버지를 생각하고 그리워 하기나 할까 아니면 그때까지 제일식당은 국밥을 말기나 하고 있을까 하는 괜한 걱정에 부질없는 생각까지 다해본다

 

        

 


218.153.38.37

최진사: 진주 중앙시장에서 양은냄비에 끓여주는 복국을 시원하게 먹은 기억이 있습니다. 다음 가면 제일식당 국밥 말아서 한그릇 먹어 보겠습니다. ^^* -[09/13-22:35]-


121.166.23.187

김병장: 진주 강남동에 있는 육거리 곰탕집 생각이 납니다...진주에 갈때 마다 찾곤하였는데 맛이 특이 했습니다...중앙시장 국밥 한번 먹어 보고 싶습니다...항상 건강하십시요. -[09/14-05:44]-


124.3.33.130

참전자(이송도): 1966년 중앙시장 대 화재 발생으로 재래시장은 철거되고 재건축한 반듯한 시장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찌기 진주의 비단이 유명하여 비단 혼수감으로 활기찬 시장이었으나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진주는 비빔밥, 국밥으로 유명한 곳이지요. 시장에 가면 커다란 가마솥에 뻘건 고추가루가 뒤썩혀 들끓는 돼지국밥집도 많았었는데....민물장어 요리집이 남강변에 즐비하더니만 바다장어구이도 특미이지요. 박대통령께서 지방시찰때 진주에 들러서 단골로 찾던 한식집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촉석루에 오른 여행전문가가 파리의 세느강보다 몇천배 아름답다고 감탄사를 자아냈는가하면 진주라 천리길을 내가왜왔느냐고 푸념어린 가사에서 가고픈 고장으로 되었습니다. 교육의 도시답게 전국고위공무원을 서울고등학교 다음으로 많이 배출한 인재의 도시이기도합니다. 지리산의 정기받은 남강물을 따라 Lg그룹과 삼성그룹, 효성그룹의 총수들이 모두 이 고장 사람이라면 한국의 산업 발전은 그 근원지가 이곳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고장이지요. 이 아름다운 고장에 남인수, 정인섭, 이봉조와 같은 훤칠한  -[09/14-07:55]-


124.3.33.130

참전자(이송도): 가요계의 명사도 나온 것 같습니다. 저도 진주를 방문 할 때는 아내의 성화에 못이겨 중앙시장 안의 한과점에 들러서 그곳에서 만든 한과를 사서 맛보곤합니다. 음식요리 솜씨가 뛰어나 대를 이어 찾는 고객이 계신다면 중앙시장의 제일식당은 세월과 관계없이 번창할 것입니다. 다음 기회가 되면 제일식당을 잊지않고 들러보겠습니다. 아침 저녁에는 더위가 한풀 꺽인 가을을 접어들고 벌초이야기가 이곳저곳에서 들리는 추석이 다가오면서 향수를 자아내는 이야기에 감사드립니다. 내일 모임의 성공을 빌면서.... -[09/14-08:36]-


220.79.101.52

안흥종: 내일 부산 벙개 맞고 싶었던 것이다. 나름 통빡 굴렸다,
서울출발 15시10분 구포도착 17시 47분 고속철 점찍었고 날씨도 좋고 적당한 곳에서 노숙하고 다음날 7시 첫 비행기 타면 출근에 지장 없으리라 생각했는데 하필 벙개치는 수요일 분당선 전 구간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기술검토 및 납기 연장에 따른 도시철도공사와 감리단과 종합회의가 있다. 애쬰하기 짝이 없다.
-[09/14-08:50]-

 


58.239.186.98

황진순: 일요일 저와 벌초가 같이 짜여져 약속드린 제일식당 해장국을 아님 비빔밥 못사드렸네요.그날 저도 아침 6 시경 혼자서 그식당에 갔었습니다.식사후 신풍 제실로 가서 친척분들과 벌초를하고..약 5년전 진주에서 베트벳 벙개를 하였답니다.곤양중앙에 있는 자연산 횟집에서 저녁먹고 진주에서 숙박하고 아침에 전우님들 모두 제일식당 해장국 한그릇하고..어제 아버님 기일이라 아침에 손님 보내고 나니 오후엔 손위 동서들이 오셔서 이제막 보내 드리고..내일 오전 보훈회관 지도위원 모임 참석후 점심먹고 오후에 진동으로가서 박정대 전우님 모시고 부산으로 갈 예정입니다. 내일뵐께요. -[09/14-18:04]-


210.113.73.8

홍 진흠: 홍하사도 진주중앙시장 재일식당에 울전우님들과 함께 간 적이 있습니다만 매운복국은 정말로 얼큰하고도 맛있드군요. 그앞집의 한복집도 기억에 남습니다. -[09/15-20:57]-


218.239.80.119

吉山/장문길: 박재영전우님 글 읽다보니 무슨 문학지를 읽기라도 하듯합니다.
좌우지간 인재는 벳트 벳에 다 모인거 같아 흐뭇합니다.
한가위만 같아라고 한 그 한가위되게 하옵소서
지난 십 수년 못 누린 거 앞으로 다 누려 보고 살고파..
가고파~ 번개팅! -[09/17-07:11]-


최진현: 중앙시장에는 찌그러진 냄비에 끌여주는 전통맛집이 여럿 있는것 같으네요.
어릴때 시장 따라가서 먹은 소고기 국밥, 요즈음도 그런 맛이 날까? 배고픈게 양념이었는데... -[07/22-07:59]-


114.203.238.183

백동기: 진주라는 곳이 농경문화시절 경상남도에서 부산보다도 더 큰 도시여서 기생집과 음식점이 널리 알려져 있었고 특히 음식으로 냉면이 대한민국 제일이여서 평양이나 함흥냉면은 진주냉면에 비하면 걸인들의 음식에 지나지 않았던 것입니다.진주냉면 육수는 12가지 해물을 가지고 만들었섰는데 지금은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경제성이 없어 사라저 버렸고 그 명맥을 의령 어느 냉면집에서 이어왔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지금 미식가들에게는 꿈속에나 있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07/22-08:07]-


121.184.236.234

김중위: 진주 하면 옛날 우리 아빠손잡고 가서 항상 먹었던 법원앞 비빔밥이 제일 이라고 알고 진주 가서 먹고 싶어 어릴적 추억이라 긹응 못 찾아 황진순 전우 만나자 말자 그집 이야기 하였더니 안내만 하라고 하였는데 계산가지 하여서 잘 먹고 왔던 기억이 납니다 진주는 나의 본적지요 초등 학교 1학년 1학기를 지수 국민 학교를 다녓고 우리 아버지 진주 농업 전문 학교 출신 우리엄마 진주 일신고녀 출신이니 인연이 많은곳 입니다 -[07/22-09:16]-


14.32.229.38

박용환: 36년전 싱싱한 나이 28세라~부산진시장으로 문구업 수금차 들럿다가 마산시장에서 또 수금..진주로 출발 느즈막하게 도착한 이유로 내일아침 수금을 해준단다..그런다고 왜 안주냐고 덤벼들 군번두 아니구 ..칼자루는 그쪽에서 쥐고있는데..ㅎ근방 여인숙에서 숙박을하고 이른아침에 문구업 주인이 저를 께운다 어제저녂에 결재 못한죄로 아침 해장국을 사 준단다 ..

썩 그다지 안 반갑다..뜨블늠 어제저녂에 결재해주면 밤길루 합천으로해서 김천까지 올라가서 김천에서 유숙을 할 판이구만..ㅠㅠ
지나간일 후회하면 뭐한다냐 눈가에 붙은 눈꼽두 못떼고 복날 개끌려가듯 끌려간다 해장국집으루..
그때 해장국집이야 요세말루 신식으루 지은집은 아니구 허수레한집인데 무슨 시골 장터두 아니구 왁자지껄 ..ㅎ
한쪽 자리를 찿아가 쪼구리구 앉자있다가 그느무 해장국 한그릇 앞에놓구 한 숮갈 입에 넣는데..어~!!이거이 진국일쎄...그집이 박전우님이 말씀하신 그집일쎄..ㅎㅎ안녕 하시죠 일촌님~~! -[07/22-09:33]-


175.215.90.11

박재영: 진사님 !베트남 다녀오시면서 쌓옇던 여독 아직 다 안풀리신건 아니겠지요 종합검진 받으신다는 수색대 글보면서 혹시나 하고 걱정합니다 ,,, 백동기님 저도 진주기생 진주냉면 유명하다는 말은 들어보았습니다 만 아쉽게도 만나보지도 먹어보지도 못했네요 -[07/22-09:50]-


175.215.90.11

박재영: 김중위 누님 께서도 잊지 못하신다는 옛 법원앞 진주비빔밥집 의 비빔밥맛 저도 잊지못하고 지금도 진주에 가면 가끔 들려서 맛보곤 한답니다" 진주" 예향의 도시이자 맛의 고장이지요. " -[07/22-10:05]-


175.215.90.11

박재영: 박용환 일족님 !반갑고요.... 무척이나 그립고 보고싶었던 글까지 올리셨는데 읽고도 미쳐 답글도 올리지 못했더랬습니다 내일 모래가" 중복" 삼복중이라 일년중 제일 바쁜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핑계로 이해 해주세요 이제 이렇게 자주뵙게 되네요 반갑습니다 -[07/22-10:13]-


58.65.104.184

장 세 영: 박재영 전우님 위내용 읽고 맴이 쨍합니다.모두 잘알고 있는 지역이라 똑같은 심정입니다. 어쩜 조부모 부모로 부터 코흘린 시절이 생각나게 합니다.김중위님 진주고향이시네요.부모님 께서는 명문학교를 다녀셨네요.유명재벌의 산실 지수초등학교 에도 진주는 마음의 창이십니다.저도 이곳 옛지명 도동이 고향입니다. 황진순 만나러 갑니다.고맙습니다. -[07/22-10:14]-


124.153.197.9

황진순: 해장국으로 유명한 시장통에있는 제일식당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지금은 옛 명성엔 못미치지만 그래도 아침엔 많은사람이 다녀갑니다. 비빔밥으로 유명한 천황식당은 아직도 성업중에 있습니다. 박전우님 추석때 성묘올때 비빔밥 한그릇 합시다..ㅎㅎ..동서 벙개팅 끝내고 보훈회관에서.. -[07/22-10:55]-


112.160.43.88

안흥종: 해장국밥도 좋지만 예전에 진주에서 황전우님이 대접한 회가 최고로 좋았습니다. -[07/22-11:46]-


50.46.129.61

최경남: 죽기전에 안 가 본 진주에 가서 해장국과 비빔밥 꼭 먹으리라..... -[07/22-13:09]-


61.32.182.180

최성영: 7년전 인가 진주에서 황진순 전우의 배려로 안흥종 전우 말데로 회도 먹고 다음날 홍진흠 전우와 함께 시장통 해장국 맛 있게 먹었던 기억 새롭습니다. 진주일원과 삼천포까지 안내를 받았는데 아직 신세를 갑지 못하고 있습니다. -[07/22-13:51]-


183.100.152.203

홍석진: 장세영전우님 아니면 삼천가포어덴지 합천땜이 어데인지 제일 식당 해장국이 어데인지 누가 알까요. 이번에 진주갔다가 느낀것이 있습니다. 천년을 자랑하는 문화의 도시이라 성인용품 취급하는 사업자가 없었습니다. 진주는 양반의 고장이라 자랑 해도 딜듯 합니다. -[07/23-10:31]-

-


121.132.145.164

홍 진흠: 홍하산 술을 안하니 사실 해장국같은건 별로 안먹었기에___ "지라" 란 말 그당시 처음 들었답니다. -[07/24-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