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새재
"문경새재" 는 한국관광공사가 조사 선정한 "꼭 가봐야할 국내관광지 100선"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한 국내 최고의 관광지다
白頭大幹의 마루를 넘는 이 고개는 조선시대 영남과 지방을 잇는 嶺南大路상의 중심으로
사회 경제 문화 등 문물의 교루지이자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새재라는 말에는 새(鳥)도 넘기 힘든 고개 .억새(草)가 우거진 고개 , 하늘재와 아우릿재 사이(間)의 고개 ,
새(新)로 만든 고개여서 새재라는 뜻이 담겨있다고 한다
문경새재는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며 한양 과거길을 오르내리던 선비들의 청운의 꿈
그리고 백성들의 삶과 땀이 서려 있는 곳이기도 하다
주흘산(1106m)과 조령산(1026m)사이로 약 6,5km의 새재계곡이 영남대로 옛길과
어우려저 천혜의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나그네의 숙소인 원터가 있고
한양으로 향하던 선비와 상인들이 한잔의 술로 여독을 풀고
정분을 나누었던 주막을 지나고 ~
임지를 떠나고 새로부임하는 신 구 경상도 관찰사가 만나 관인을 주고 받았다는 "교귀정" 이 남아있다
오랜세월 고갯길을 오르내리던 수 많은 객들이 소원을 담아 쌓아 올린 소원성취탑
조곡폭포앞에서
문경새재는 옛길의 모습을 잘 간직한 고갯길로 옛날의 분위기를 느끼며
한번쯤 걸어봄직한 길이다
그옛날 이 고갯길을 넘던 수많은 선조들의 감흥과 애환을 떠올리며
새재를 걷는것은 깊은 감동과 울림을 준다
낙동강의 근원은 셋인데 하나는 태백산 "황지"에서 나오고 하나는 문경 "초점"에서 나오고
하나는 소백산 "순흥"에서 발원된 물이 합하여 상주에 이르러 낙동강이 된다
문경 초점은 문경새재의 옛 지명으로서 낙동강과 한강의 분수령이며
낙동강의 역사적인 발원지로 의의가 매우 큰 곳이다
주차장에서 약 6.5km의 새재길을 걸어올라 경상북도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의
경계에 위치한 고개마루에 제3관문 "조령관"에 도착 ~
인증사진 하나 박고 ~~
"조령성문"을 나서니 ~
충청북도 괴산군 이더라